정의 및 규정

태양광 모듈을 건축물에 설치하여 건축 부자재의 역할 및 기능과 전력생산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태양광 설비로 창호, 스팬드럴, 커튼월, 이중파사드, 외벽, 지붕재 등 건축물을 일부 또는 완전히 둘러싸는 벽, 창, 지붕 형태로 모듈이 제거될 경우 건물 외피의 핵심기능이 상실 또는 훼손될 수 있어 다른 건축자재로 대체되어야 하는 구조.
준수 사항

신청자, 설계자 및 시공자는 모듈 온도 상승에 따른 건축물 부자재 파괴방지, 발전량 저감 최소화 방안 및 방수계획을 수립하여 설계하고 시공하여야 하며 감리원은 이를 확인하여야 한다.
추진 배경

1. 지속가능한 농업, 농촌 비즈니스 모델 구현 필요

(1) 농촌 인구의 고령화로 농촌 기능 저하
(2) 50대~60대 중장년층의 농업 생산성 증대 효과
(3) 농업인식 개선을 통한 젊은 농업인구 유입 필요성
(4) 스마트 ICT 기술 도입 및 추가적인 수익원 필요성 증대
(5)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인 태양광 발전수익으로 지속적인 소득 발생

​2. 농산품 소비 인식 개선

(1) 신선식품 및 과실의 연중 수요 증대
(2) 국민생활 수준 향상 → 농산물 소비패턴의 고급화, 다양화, 간편화
(3) 양 중심에서 질 중심으로 농산물 소비 인식 변화


3. 기후변화로 인한 전 세계적인 탄소감축 이행 협약

국내 신재생에너지 3020정책으로 태양광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활성화
개요 및 목적

BIPV 개요
- 전기 생산 PV 모듈 기능 + 건축 외장재 기능
- 외벽면, 창호, 지붕 등 건물 외관에 태양광을 
   장착해 생성된 에너지를 건축물에 바로 활용


BIPV 목적
- 기존 구조물, 지붕고정식 태양광 발전 장치의 
   단점을 보완
- 모듈 외벽 마감을 통해 재료 비용 절감과 열손실 
  차단 효과 기대 및 경제성 확보
- 주로 패널이 설치되던 옥상 공간 확보 가능
 - 신축 또는 기존 건물 개보수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
- 컬러 모듈 설치를 통한 건축물의 심미적 효과 
  극대화 및 건축물의 예술적 표현 범위 확장 기대
온실형 BIPV 종류

1. 미래형 온실
태풍, 우천 냉해, 병충해 등의 재해로 부터 작물을 보호하고, 각 작물에 최적화된 조건을 제공하여 고품질 고부가 가치 작물을 연중 생산한다.
*최적화된 조건: 온실내 온.습도, 일사량, 채광률, 차광률, 영양분 공급, 냉.난방, 환기등

2. 하이브리드형 온실
PV + 온실의 복합 구조를 통해 작물에 인공광과 자연광을 일정하게 공급하여 작물 생산에 최적의 조건을 형성하고 아울러 발전수익을 통해 농업인의 수익을 증진시킨다.
온실형 BIPV 구조
건축법상 용도: 작물재배사

1. 내재해성 비닐 + PV
하이브리드형 온실(인공광과 자연광 혼합)

2. 콘크리트 기초 + 내재해성 비닐 + 경량철골구조
등기 가능 온실

3. 구조계산 + PV지붕구조 + 내재해성 비닐
내재해성 온실

4. 가 + 나 + 다 + 스마트팜 시스템(선택사항)
미래형 온실